12년제 기독대안학교, 새음학교
새음학교 문의처
공지사항 고등
고등

5월 2주차 사랑의 편지(특별한 과학수업이야기)

조회수 754
작성일 2023-05-03

본문

2023년 5월 2주 사랑의 편지

특별한 과학 수업이야기 / 교사 김중한

 안녕하세요 새음 가족 여러분들! 오늘은 새음학교 중등과정 과학수업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올해의 새음학교 과학수업은 한마디로 ‘지식도서와 함께 탐구하는 과학수업!’ 이라고 말 할 수 있을것 같네요. 작년과는 달리 과학수업시간만 되면 우리 아이들은 항상 책 두권을 옆에 끼고 과학실로 향한답니다. 우리 아이들과 항상 함께하는 책의 정체가 무엇인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야기 1. ‘지식도서’와 함께하는 과학수업

<왼쪽부터 탐구노트(전 학년 공통), 생명과학(7,8학년 자연과학), 과학심화(9학년 자연과학)>

7dd907f7c99b66c4427b5ef81ce67780_1683097988_6051.png
 

 2023년에는 수업 연계도서와는 별도로 다양한 읽기자료들을 한데 묶고 교과과정에 맞게 재배열하여 ‘자연과학 읽기자료집’으로 새롭게 편성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매 수업의 방향에 따라 수업 중이나 전후에 읽기자료집을 읽어봄으로써 과학 지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고 있답니다.

 과학이라는 과목은 무엇보다 유기적으로 연결된 지식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과목입니다. 그러나 교과서나 문제집의 함축적인 지식의 나열은 행간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그저 단편적인 지식들의 집합체일 뿐 진정한 ‘과학’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 바로 지식도서의 중요성이 드러나게 됩니다. 좋은 책을 통해 지식의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고 과학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과학을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말에는 좋은 책을 찾으러 아이들과 함께 동네 도서관에 가보시는건 어떨까요?


7dd907f7c99b66c4427b5ef81ce67780_1683098010_8832.png
 


이야기 2. ‘탐구’하는 과학수업


  과학이 어렵다고 이야기하는 친구들에게 물어보면 ‘외울것이 너무 많아서요’라는 답변이 종종 들려옵니다. 그런데 과학이 과연 암기가 중심이되는 과목일까요?

 먼저 과학수업에서 말하는 ‘과학’이란 무엇일까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학이란, 자연에 대한 탐구로부터 자연 세계의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식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말합니다(Naylor, 2007; Driver, 2000; 신지영 2017; 김영대 2015; 김현정, 2014). 따라서 과학 지식의 형성에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과정과 합당한 증거로부터 주장을 도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능력이 바로 과학적 탐구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초 과학 탐구능력(관찰, 측정, 예상, 분류, 추리, 의사소통)’

‘통합 과학 탐구능력(문제인식, 가설설정, 변인통제, 자료변환, 자료해석, 결과도출, 일반화)’


 새음학교 과학수업에서는 발달단계에 맞게 학년에 따라 목표로 향하는 바가 조금씩 달라집니다. 7학년은 기초 과학 탐구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에 관찰, 측정 등 직접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과학이론을 확인하는 과정으로의 탐구능력을 키우는 훈련이 주가 됩니다. 8학년은 통합 과학 탐구능력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심화된 지식도서를 적절히 활용하여 과학 지식이 성립되는 흐름을 이해하고, 논증을 통해 보다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한 아이들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훈련이 주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9학년은 갑자기 난이도가 급 상승하는 10학년 통합과학과의 중간 연결고리가 되는 지점으로  지금까지의 훈련을 바탕으로 보다 전문적이고 심화된 과학을 접하게 됩니다.


7dd907f7c99b66c4427b5ef81ce67780_1683098051_4558.png
 

 따라서 학생들은 과학 지식을 있는 그대로 단순히  받아들이는것이 아니라, 탐구활동과 논증 활동을 통해 논리적으로 학습해보는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학생들은 탐구 활동을 수행하면서 증거의 합당성을 찾기위해 고민하고, 증거를 토대로 논리적 추론을 하고, 끊임없는 반성적 사고로 자신의 주장이 정당한지 돌아보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학자의 수행과정을 경험하게 되어 과학의 목적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게 된답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다양한 근거를 바탕으로 추론하는 논증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이나 알고 있던 지식을 재구성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과학개념을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7dd907f7c99b66c4427b5ef81ce67780_1683098072_2542.png
 

 과학을 배운다는 것은 즉, 과학을 하는 법(Doing Science)을 배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학은 단순히 암기해야하는 복잡한 과목이 아니라 탐구하고 해답을 찾아나가는 즐거운 논증 활동입니다. 오늘은 우리 주변 자연 세계를 한번 더 열린 마음으로 돌아보고 재미있는 자연 현상들에 관심을 가져보는건 어떨까요?



 

학사일정

5월 8일(월) 2마당 시작

5월 2일(화) ~13일(토) 유럽비전트립(11학년)  / 5월 15일(월) 11학년 재량휴업일 

5월 16일(화) 모의고사 / 5월 18일(목) 새음 온가족 기도회 

5월 25일(목) ~ 6월 2일(금) 태국봉사활동(10학년)

5월 29일(월) ~ 6월 1일(목) 7학년 우땅즈

5월 30일(화) ~ 6월 2일(금) 8학년 우땅즈

6월 5일(월) 재량휴업일 / 6월 8일(목) 건강검진 (7,10학년) 


안내사항

  1. 돌아오는 주에는 2마당이 시작됩니다! 2마당에는 7,8학년, 10학년의 우땅즈가 기다리고 있는데요^^ 하나님이 그 시간동안 우릴 위해 준비해두신 것들을 기대하는 마음으로 힘차게 2마당을 시작합시다! 2마당도 화이팅!!!


  1. 환절기로 인한 질병과 독감 등이 계속 유행 중에 있습니다. 손을 깨끗이 닦고, 충분한 수분섭취를 하며 건강을 잘 지킵시다. 컨디션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꼭 마스크를 끼고 다녀서 전염을 예방합시다. 서로의 건강을 위해서도 함께 기도해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